본문 바로가기
투자의 기쁨

미래에셋증권 vs 삼성증권 vs 농협나무증권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식 비교

by Oracle Maven 2025. 3. 14.
반응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식은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농협나무증권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신고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기본 개념

해외주식을 매도하여 연간 250만 원 이상의 순이익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 22%(소득세 20% + 지방세 2%)가 부과됩니다.

  • 양도소득세 = (양도차익 - 기본공제 250만 원) × 22%
  • 양도차익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거래비용 (수수료 등)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는 개인이 직접 신고 및 납부해야 하며,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합니다.


2.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세 계산 방식 차이

 미래에셋증권

  • FIFO(선입선출법) 적용
  • 매도 시점에서 가장 오래된 주식부터 매도된 것으로 간주하여 양도차익을 계산
  • 환율 적용 방식: 실제 체결일의 환율 기준 적용
  • 양도소득세 신고 서비스 제공: "양도소득세 자동 계산 서비스" 제공

🔹 예시:

  • 2023년 1월: A주식을 100달러에 10주 매수
  • 2023년 6월: A주식을 120달러에 10주 매도
  • 미래에셋증권은 1월에 매수한 가격(100달러) 을 기준으로 양도차익 계산
  • 양도차익 = (120 - 100) × 10주 = 200달러

 삼성증권

  • 개별원가법 적용
  • 보유 주식마다 개별 매수가격을 반영하여 양도차익을 계산
  • 환율 적용 방식: 매도 체결일의 환율 적용
  • 양도소득세 신고 서비스 제공: "양도소득세 계산 지원 서비스" 제공

🔹 예시:

  • 2023년 1월: A주식을 100달러에 5주 매수
  • 2023년 3월: A주식을 110달러에 5주 추가 매수
  • 2023년 6월: A주식을 120달러에 5주 매도
  • 삼성증권은 5주를 선택적으로 매도할 수 있으며, 100달러 or 110달러 기준으로 차익을 선택적으로 계산 가능

 농협나무증권

  • 평균 매입단가 방식(가중평균법) 적용
  • 동일 종목을 여러 번 매수했을 경우, 평균 매입단가를 기준으로 양도차익을 계산
  • 환율 적용 방식: 매매 체결일의 환율을 평균 적용
  • 양도소득세 신고 서비스 제공: "NH투자증권 신고 지원" 서비스 제공

🔹 예시:

  • 2023년 1월: A주식을 100달러에 5주 매수
  • 2023년 3월: A주식을 110달러에 5주 매수
  • 2023년 6월: A주식을 120달러에 5주 매도
  • 농협나무증권은 (100 + 110) / 2 = 105달러를 기준으로 매도 차익을 계산
  • 양도차익 = (120 - 105) × 5주 = 75달러

3.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식 차이 요약

증권사 적용 기준 환율 기준 특이점

미래에셋증권 FIFO(선입선출법) 체결일 환율 적용 오래된 주식 먼저 매도
삼성증권 개별원가법 체결일 환율 적용 매도 주식 개별 선택 가능
농협나무증권 평균 매입단가법 평균 환율 적용 평균 매입단가 계산

4. 결론 및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 단기 투자자(빈번한 매매) → 삼성증권
    • 개별원가법 적용으로 특정 매수가를 선택하여 유리한 양도차익 계산 가능
  • 장기 투자자 → 미래에셋증권
    • 선입선출법 적용으로 보유 기간이 긴 주식이 먼저 매도됨 → 장기 보유 종목에 적합
  • 초보 투자자 → 농협나무증권
    • 평균 매입단가 적용으로 복잡한 계산 없이 손익을 쉽게 파악 가능

💡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는 투자자의 매매 전략에 따라 다르므로 자신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반응형